과장님, 제가 파악한 것은 지원 근거가 없는 곳이 저희 서구를 포함해서 6개거든요.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사하구에 울숙도 체육시설관리랑, 수영구 구민체육센터랑 이곳은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차이점을 혹시 파악해 보셨냐고 여쭙는 겁니다.
왜냐하면 지원조례가 되어 있는 구는 왜 그렇게 됐는지 지원을 해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을 것 아닙니까?
그리고 지원하지 않는 구는 왜 지원을 하지 않는지를 내용이 분명히 나와 있을 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이 제가 볼 때는 과장님께서 파악이 안되신 거 같은데, 이 내용을 파악을 하셔서 위원님들한테 내용을 전달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저희들이 국민체육센터에 할인을 하고 반환금 현황을 제가 검토를 해보니, 지금 다른 구 같은 경우에는 그린카드 같은 경우 거의 10%를 하고 있습니다.
아까 이석희 위원님 말씀처럼 우리 서구만 현재 20%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구도 다른 구와 마찬가지로 10%로 낮추는 게 맞지 않나,
이 부분은 충분히 검토를 하셔서 10%로 낮춰서 다른 구와 같이 적용을 해야 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경로자 우대같은 경우는 다른 구에 비해서 저희들이 조금 낮습니다.
그래서 어르신들은 사실은 수입이 없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도 좀 검토를 하셔서 같이 추가로 반영을 해주시면 좋겠고요.
다자녀 가족같은 경우도 다른 구는 최저 10%에서 20%까지 하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물론 50%하는 곳도 있지만 그렇다면 우리가 할인율로 인해서 운영하는 게 차질이 있다고 하면 우리 구 형편에 맞게끔 10%로 다운하는 게 맞지 않나, 10%에서 15%로 이렇게 봅니다.
그 다음에 수영회원 같은 경우도 내용을 보면 거의 다가 수영구간이 짧아서 감천에 있는 사하구 체육센터로 주민들이 다 가고 계세요.
여기서도 센터에서 차량을 운영하다 보니깐,
그렇다면 우리 수영회원들도 다른 구 경우는 12세에서 55세로 되어있는데 우리 구같은 경우는 10세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도 면밀하게 검토가 되어야 된다.
지원을 하더라도 공공의 다른 구와 아니면 다른 시와 비교를 면밀하게 하셔서 우리가 적자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지원을 해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